개요

석궁에 대한 기록은 BC500년경 중국의 작가 순휴의 '전쟁과 기술'이란 책에 보이는 기록이 가장 오래된 것이
아닌가 한다. 그 기록에 의하면 석궁은 가장 강력한 전쟁용 무기였다. 중국의 한나라 시대(BC206~AD220)에는 석궁이 대중화 되어 있었음을 각종 문헌에서 확인할 수 있다. AD1100년 경에는 유럽에서도 중국의 것과 유사한 석궁이 사용된 기록이 있다. 석궁은 재래식 활보다 여러 가지 면에서 뛰어난 장점을 지니고 있다. 우선 효능면에서 뛰어났다. 100 야드(약91M)정도의 거리에서 당시의 금속제 갑옷을 관통할 수 있었다. 화살구멍과 활 시위를 지지해주는 받침대가 기계적으로 장치되어 있어서 발사할 때 육체적인 힘이 거의 들지 않는다. 그러나 전쟁도구로서의 석궁에는 많은 단점도 있었다. 정조준을 하여 쏜다면 1분에 한발을 쏘는 것이 가장 알맞다. 물론 숙련된 사수들은 1분에 6발 정도까지 쏠 수 있었으나 한번 발사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상당히 비효율적인 셈이다.
그 이후 석궁의 무게나 화살의 길이, 조준장치 등이 거듭 개량되어 오다가 마침내 1550년경에 이르러 전쟁의
병기로서는 더 이상 이용되지 않았다. 근대에 와서 중국에서도 실전용으로 사용되었다. 1894년 청일전쟁 당시에 방어용 무기로 석궁을 사용했던 것이다.

2차대전 때에도 석궁이 연합군의 특공대원들에게 지급된 적이 있으나 그다지 큰 효과를 거두지는 못한 것 같다. 최근에는 석궁의 줄을 유리섬이나 합성섬유로 대체함으로써 비가 오는 날이나 습한 지역에서도 정상적인 조준이 가능하도록 개발되었다. 석궁의 화살은 거의 직선으로 날아가며 속도가 몹시 빠르다. 물론 소음은 거의 없다. 70야드(약65M) 거리까지는 화살이 직선으로 날아가지만 그보다 멀면 화살이 정조준된 목표보다 낮은 지점에
맞게 된다. 또 바람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풍속이나 풍향에 따라 조준점에 변화를 주어야 한다.

 유래

석궁이 처음 시작된 것은 중국 무술의 본산인 소림사였다고 전해지며, 유럽에서도 AD 1,100년경 중국의 것과
유사한 석궁이 사용된 기록이 있다. 중세에는 십자군 전쟁의 주요 무기로 사용되어 유럽의 승리를 이끌어 십자궁으로도 불리었다. 그러나 영국과 프랑스의 백년전쟁 즉 바라전쟁을 끝으로 화약이 발달되자 석궁은 무기로서의 역할을 다하고 총의 시대가 도래한다. 우리나라에서도 석궁의 흔적이 곳곳에 있는데 신라시대 및 고려 때에 석궁이 발견되기도 했고 낙랑군의 고 분에도 벽화로 남아있다 이 밖의 기록을 찾아보면 신라에서는 화랑의 무기가 석궁이었고 임진왜란때는 권율장군이 행주대첩에서 사용한 쇠뇌도 바로 다연발 석궁인 것이다.

역사적으로 볼 때는 우리나라가 가장 앞서 석궁의 종주국이 우리나라라고 주장하는 이도 있다. 현대식 석궁이 우리나라에 들어온 것은 1978년 사격선수들의 훈련용으로 보급되었으며 1983년부터 일반인에게 보급되기 시작했고, 1988년 서울 올림픽 시범 종목으로 채택된 것이 계기가 되어 본격적으로 보급되어 지금은 70여개의 클럽에서 동호인들이 활동하고 있다. 사격과 양궁을 결합한 석궁은 사격이나 양궁과 마찬가지로 정신집중을 요하는 레포츠로 화살 장전 시 근육단련효과와, 격발 시 호흡중지에 따른 단전 효과 등 과격하지 않으면서 상당한 운동효과가 있다. 또한 간단한 조작방법으로 10여분정도의 화살장전과 조준법만 배우면 초보자라도 표적에 쉽게 명중시킬 수 있고, 화살이 과녁에 꽂힘과 동시에 전자계기판에 점수가 나타나는 등의 시스템개발로 보다 더 대중적이고 재미가 더해져 저변확대를 꽤하고 있다.

석궁은 경기용과 레저용으로 나뉘는데 경기용은 선수들이 사용하는 것이며 레저용은 사냥, 낚시 등의 수렵용으로 사용한다. 영국, 이탈리아 등에서는 명중률이 높으며 사격할 때 소리가 나지 않아 지속적인 수렵이 가능하여 석궁사냥이 일반화 되어있다.

 장소

- 태릉 푸른 동산, 양재동 시민의 숲, 롯데월드, 면목동 용마산공원, 여의도 백화점, 잠실 신천 실내연습장.

- 경기도 용인에 5만여평 규모의 대형 석궁장, 수안보 오로라밸리, 무주리조트, 김해 가야랜드.

- 부산의 사직 실내체육관, 대청 금강 에덴공원, 가야공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