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통마당보도자료
지방자치단체 체육정책의 선진화
날짜 2010-04-08 15:34:40|조회수 2993
▲ 박성률(독일 콘스탄츠대학교 연구원)
최근 정부가 발간한 한국 체육정책·산업 지원보고서를 보면 미래 한국체육의 활성화 방안으로 수상스포츠의 중요성이 강조돼 있다. 그 합당한 근거로 현재 올림픽메달 301개 중 30%에 육박하는 85개(수영 44개, 카누 16개, 조정 14개, 요트 11개)가 물과 관련된 종목이며, 특히 지난 북경올림픽에서 한국보다 상위의 국가들은 수상종목에서 많은 메달을 획득하였다는 점이다.
우리나라는 약 1만2천800km에 이르는 해안선을 구비한 3면의 해수면과 한강, 낙동강, 금강, 섬진강, 영산강 등 5대 강을 비롯한 전국 65개소의 국가 하천, 55개소의 지방 1급 하천 등의 천혜의 환경을 지니고 있다. 이런 환경을 토대로 조직적인 레저 활동을 통해 수상스포츠를 중점적으로 육성할 수 있다는 것이 새로운 정책 수립의 기저로 작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현 정부의 수상스포츠 활성화 정책의 일환으로 2009년 1월 포항에 국내 최초의 해양스포츠클럽이 설립됐다. 선진국형 스포츠시스템을 도압해 운영되는 해양스포츠클럽을 통해 영일만과 형산강을 중심으로 조정, 카누·용선, 요트, 윈드서핑, 제트스키, 스쿠버다이빙, 카이트보딩 등과 같은 수상스포츠 종목이 학생과 일반인을 대상으로 국가 사업으로 운영되고 있다.
이러한 정부 정책의 주된 목표는 지방자치단체와 연계한 선진화된 한국형 스포츠시스템의 정착이다. 선진화된 스포츠시스템은 견실한 학교체육의 바탕 위에 생활체육의 저변이 확대되고 이를 토대로 양질의 엘리트체육 자원 확보와 성과 달성으로 연계된다. 그 성과가 다시 학교체육과 생활체육의 발전으로 선순환되는 체계이다. 이와 같은 선진화된 선순환적 스포츠체계는 체육 강국인 독일을 중심으로 발전되어 왔으며, 현재 독일 체육정책의 특징은 지리적·환경적인 특성을 고려한 스포츠클럽과 훈련거점도시 지정 등과 같은 지역화 및 특성화를 장려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스포츠종목을 활성화시키고 있다.
한국의 현 정부도 글로벌시대에 걸맞게 스포츠시스템의 선진화를 통해 국격을 향상시키는데 중점을 두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로 비인기 종목의 클럽스포츠 체제 정착과 동시에 자연 지리적·환경적 특성을 고려한 스포츠클럽의 지역별 특성화를 위해 포항해양스포츠클럽과 같은 새로운 국책 사업을 결정한 것이다.
포항해양스포츠클럽의 설립에 대한 정부 인가 배경에도 지역의 천혜 자연조건과 학교, 지방자치단체 중심의 체계적인 수상스포츠 인프라 구축 등이 큰 역할을 했다. 실제 포항은 경상북도 내 최초 수상스포츠연맹의 설립, 전국 최우수 수상스포츠 직장운동경기부 운영, 전국대회 유치를 통한 수상스포츠 시설 확충, 시민 용선대회와 같은 수상레저스포츠의 저변확대, 선진화된 스포츠 체계를 통한 국가대표선수 및 국가대표선수 출신 지도자 배출 등 최상의 수상스포츠 인프라를 구축해 놓고 있다. 이러한 지방자치단체의 선진화된 제도적 장치가 현 정부의 지대한 관심을 받게 된 것이다.
시대적 요구에 따라 특정한 사회는 그 사회가 처한 특수한 여건이나 환경에 순응해 추구하는 가치를 달리할 수 있으며, 정부는 그러한 사회에 걸맞은 정책을 통해 바람직한 사회 건설을 시도하게 된다. 그러나 그 정책이 잘못 결정되거나 비효율적으로 집행되면 가치의 실현은 어렵고 그 피해는 국민에게 돌아가게 된다. 결국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수립한 정책의 배경과 집행 결과는 국민들에 의해 평가된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정부가 수립한 체육정책의 선진화에 대한 성공여부가 정부 관련부처와 지방자치단체와의 정치·사회적인 연결망 수준에 달려있다고 해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 즉 지방자치단체가 정부의 새로운 체육정책을 수렴하고, 지역민들의 관심 유발과 건전한 신체 및 정신을 함양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는 데 성공 열쇠가 있다.
박성률(독일 콘스탄츠대학교 연구원)
ⓒ 경북일보 & kyongbuk.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다음글 광주 관광복합타운 좌초 위기
- 이전글 사감위, 사행산업 현장 특별 점검